제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1953년 4월 24일, 제1회 선거에서 선출된 의원들의 임기 만료에 따라 실시되었다. 128석을 선출하는 이번 선거는 6년 임기의 의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자유당이 46석을 얻어 제1당을 유지했으나 과반수에는 미치지 못했다. 투표율은 63.18%를 기록했으며, 사노시 투표소에서 발생한 일본사회당 후보의 소속 정당 오기재 사건으로 인해 재선거가 치러지기도 했다. 또한, 특정 후보의 선거 운동 방식이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어 공직선거법 개정의 계기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3년 선거 - 제2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요시다 시게루 총리의 "바카야로 해산"으로 치러진 제2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자유당이 제1당이 되었으나 과반수 확보에 실패하고 야당이 약진하면서 요시다 내각의 불안정과 하토야마 이치로의 집권으로 이어지는 전환점이 되었다. - 1953년 선거 - 1953년 남아프리카 연방 총선거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심화되던 1953년 남아프리카 연방 총선거에서 다니엘 프랑수아 말란 총리의 국민당이 압승하여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강화되고 흑인과 유색인종에 대한 차별이 심화되었다. - 1953년 4월 - 제2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요시다 시게루 총리의 "바카야로 해산"으로 치러진 제2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자유당이 제1당이 되었으나 과반수 확보에 실패하고 야당이 약진하면서 요시다 내각의 불안정과 하토야마 이치로의 집권으로 이어지는 전환점이 되었다. - 1953년 4월 - 1953년 칸 영화제
1953년 칸 영화제는 장 콕토가 심사위원장을 맡아 4월 15일부터 29일까지 프랑스 칸에서 개최되었으며, 《공포의 보수》가 황금종려상을 수상하고 샤를 바넬과 셜리 부스가 각각 남우주연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1953년 일본 - 바카야로 해산
바카야로 해산은 1953년 요시다 시게루 총리가 "바카야로" 발언을 하여 촉발된 중의원 해산으로, 이는 당시 요시다 내각의 불안정과 자유당 내부 갈등을 심화시켜 불신임안 가결로 이어진 전후 일본 정치의 혼란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 1953년 일본 - 제4차 요시다 내각
1952년 10월 30일부터 1953년 5월 21일까지 존속한 제4차 요시다 내각은 요시다 시게루 총리 휘하의 자유당 중심 내각으로, 각료 교체와 료쿠후카이 소속 인사 참여, 그리고 바카야로 해산과 같은 정치적 사건이 있었다.
제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
---|---|
선거 정보 | |
선거 이름 | 1953년 일본 참의원 의원 선거 |
국가 | 일본 |
국기 연도 | 1870 |
선거 종류 | 의회 |
진행 여부 | 아니요 |
이전 선거 | 1950년 일본 참의원 의원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950 |
다음 선거 | 1956년 일본 참의원 의원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1956 |
선출 의석 | 참의원의 250석 중 128석 |
과반 의석 | 126 |
선거 날짜 | 1953년 4월 24일 |
주요 정당 및 지도자 | |
지도자 | 요시다 시게루 |
정당 | 자유당 (일본, 1950) |
당선 의석 | 93 |
의석 변동 | 17 |
득표수 | 6,149,927 |
득표율 | 22.7% |
득표율 변동 | 6.6% |
지도자 | 스즈키 모사부로 |
정당 | 좌파 사회당 |
당선 의석 | 40 |
의석 변동 | 새로 생김 |
득표수 | 3,917,837 |
득표율 | 14.3% |
득표율 변동 | N/A |
정당 | 녹풍회 (1947–1960) |
당선 의석 | 34 |
의석 변동 | 16 |
득표수 | 3,301,011 |
득표율 | 12.2% |
득표율 변동 | 0.9% |
지도자 | 가와카미 조타로 |
정당 | 우파 사회당 |
당선 의석 | 26 |
의석 변동 | 새로 생김 |
득표수 | 1,740,423 |
득표율 | 6.4% |
득표율 변동 | 새로 생김 |
지도자 | 시게미쓰 마모루 |
정당 | 개진당 |
당선 의석 | 15 |
의석 변동 | 새로 생김 |
득표수 | 1,630,507 |
득표율 | 6.0% |
득표율 변동 | N/A |
참의원 의장 | |
직함 | 참의원 의장 |
선거 이전 | 사토 나오타케 |
이전 소속 정당 | 녹풍회 (1947–1960) |
선거 이후 | 가와이 야하치 |
이후 소속 정당 | 녹풍회 (1947–1960) |
선거 결과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
회차 | 제3회 |
![]() | |
제1당 이미지 | [[File:Shigeru Yoshida suit.jpg|150x150px]] |
제1당 대표 | 요시다 시게루 |
제1당 링크 | 자유당 (일본 1950-1955) |
제1당 이름 | 요시다 자유당 |
제1당 비개선 의석 | 47 |
제1당 획득 의석 | 46 |
제2당 이미지 | [[File:Mosaburo-Suzuki-1.png|150x150px]] |
제2당 대표 | 스즈키 모사부로 |
제2당 링크 | 사회당 좌파 |
제2당 이름 | 좌파 사회당 |
제2당 비개선 의석 | 22 |
제2당 획득 의석 | 18 |
제3당 이미지 | [[File:Jotaro-Kawakami-1.png|150x150px]] |
제3당 대표 | 가와카미 조타로 |
제3당 링크 | 사회당 우파 |
제3당 이름 | 사회당 우파 |
제3당 비개선 의석 | 16 |
제3당 획득 의석 | 10 |
제4당 이미지 | [[File:Shigemitsu Mamoru.jpg|150x150px]] |
제4당 대표 | 시게미쓰 마모루 |
제4당 링크 | 개진당 |
제4당 이름 | 개진당 |
제4당 비개선 의석 | 7 |
제4당 획득 의석 | 8 |
제5당 이미지 | [[File:Hisao Kuroda 01.jpg|150x150px]] |
제5당 대표 | 구로다 히사오 |
제5당 링크 | 노동자 농민당 |
제5당 이름 | 노동자 농민당 |
제5당 색상 | ff0000 |
제5당 비개선 의석 | 2 |
제5당 획득 의석 | 0 |
제6당 이미지 | [[File:Hatoyama Ichirō (cropped).jpg|150x150px]] |
제6당 대표 | 하토야마 이치로 |
제6당 링크 | 일본 자유당 (1953-1954) |
제6당 이름 | 하토야마 자유당 |
제6당 비개선 의석 | 2 |
제6당 획득 의석 | 0 |
제7당 이미지 | [[File:TOKUDA Kyuichi.jpg|150x150px]] |
제7당 대표 | 도쿠다 규이치 |
제7당 링크 | 일본 공산당 |
제7당 이름 | 일본 공산당 |
제7당 비개선 의석 | 1 |
제7당 획득 의석 | 0 |
선거 결과 도표 | |
국가 | JP |
제목 | 1953년 일본 참의원 의원 선거 |
선거 연도 | 1953 |
이전 선거 연도 | 1950 |
비교 2 | 예 |
정당 1 | 자유당 |
득표율 1 | 23.2 |
기존 득표율 1 | 29.7 |
암색 1 | #4DB56A |
정당 2 | 사회당(좌) |
득표율 2 | 14.3 |
기존 득표율 2 | 17.3 |
암색 2 | #cb4894 |
정당 3 | 녹풍회 |
득표율 3 | 12.2 |
기존 득표율 3 | 13.1 |
암색 3 | #414fa3 |
정당 4 | 사회당(우) |
득표율 4 | 6.4 |
암색 4 | #F9A1D0 |
정당 5 | 개진당 |
득표율 5 | 6 |
기존 득표율 5 | 4.9 |
암색 5 | #fcf16e |
정당 6 | 일본공산당 |
득표율 6 | 1.1 |
기존 득표율 6 | 4.8 |
정당 7 | 노농당 |
득표율 7 | 0.4 |
기존 득표율 7 | 0.7 |
암색 7 | #ee0000 |
정당 8 | 기타 |
득표율 8 | 35.2 |
기존 득표율 8 | 27.3 |
2. 선거 배경
일본국 헌법 제102조에 따라 제1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선출된 참의원 의원 절반의 임기가 만료됨에 따라, 임기 6년의 의석을 대상으로 선거가 실시되었다.
도치기현 사노시의 투표소에서 히라바야시 고우 후보의 소속 정당명을 "일본사회당"이 아닌 "일본공산당"으로 잘못 기재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1954년 9월 24일 최고재판소 상고심 판결로 사노시 선거가 무효 처리되어 오오쿠라 세이이치, 세키네 큐조, 오오타니 츠네오, 야기 히데지, 카시와기 쿠라지, 쿠스미 요시오 6명이 실격되었다.[4] 이후 1954년 10월 17일 사노시에서 재선거가 실시되었고, 그 결과 쿠스미 요시오가 낙선하고 히라바야시 고우가 당선(임기 3년)되었다.[5]
2. 1. 선거 과정
1953년 4월 24일에 일본에서 참의원 선거가 실시되었으며,[1] 의석의 절반을 선출했다. 자유당 요시다파가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했다.- 내각: 제4차 요시다 시게루 내각 (제50대)
- 공시일: (정보 없음)
- 투표일: 1953년(쇼와 28년) 4월 24일
- 개선 의석 수: 128석 (보궐선거를 위해 3석 포함, 임기 3년)
- * 지방구 - 75석
- * 전국구 - 53석 (보궐선거를 위해 3석 포함, 임기 3년)
- 선거 제도:
선거 제도 | 의석 수 | 내용 |
---|---|---|
소선거구제 | 25 | 2인 선거구(단기투표) - 25 |
중선거구제 | 50 | 4인 선거구(단기투표) - 15, 6인 선거구(단기투표) - 4, 8인 선거구(단기투표) - 2 |
대선거구제 | 53 (그 중 3석은 보궐선거를 위한 것으로 임기 3년) | 전국구 |
- 투표 방법: 비밀투표, 단기투표, 2표제(지방구·전국구)
- 선거권: 만 20세 이상의 일본 국민
- 피선거권: 만 30세 이상의 일본 국민
- 유권자 수: (남성: , 여성: )[6]
- 주요 정당 및 후보: (지역구: 전국구:)
정당 | 총재/대표/위원장/주석 | 간사장/서기장 |
---|---|---|
자유당 | 요시다 시게루 | 사토 에이사쿠 |
하토야마 자유당(분파 자유당) | 미키 무네키치 | (정보 없음) |
개진당 | 시게미쓰 마모루 | 미키 다케오 |
우파 사회당 | 가와카미 조타로 | 아즈마 이네지로 |
좌파 사회당 | 스즈키 시게사부로 | 노미조 마사루 |
노동자농민당 | 쿠로다 토시오 | (정보 없음) |
일본 공산당 | 토쿠다 큐이치 (당시 북경에서 망명 중) | (정보 없음) |
제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의 투표율은 63.18%였다.[1][2]
3. 선거 결과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자 자유당 6,260,816 23.2 16 일본사회당(좌파) 3,858,552 14.3 8 녹풍회 3,301,011 12.2 8 일본사회당(우파) 1,740,423 6.4 3 개진당 1,630,507 6.0 3 일본공산당 293,877 1.1 0 노동자농민당 110,889 0.4 0 무소속 9,504,220 35.2 15 총합 27,034,839 53
자유당은 95석을 얻어 원내 1당을 유지했지만, 과반 확보에는 실패했다. 일본사회당(좌파)는 40석, 일본사회당(우파)는 26석을 얻어 사회당의 의석이 증가하였다. 녹풍회는 34석, 개진당은 15석을 기록했다.
3. 1. 정당별 의석수
정당 | 지역구 | 전국구 | 당선자 합계 | 의석수 |
---|---|---|---|---|
자유당 | 30 | 16 | 46 | 95 |
일본사회당(좌파) | 10 | 8 | 18 | 40 |
녹풍회 | 8 | 8 | 16 | 34 |
일본사회당(우파) | 7 | 3 | 10 | 26 |
개진당 | 5 | 3 | 8 | 15 |
노동자농민당 | 0 | 0 | 0 | 2 |
일본공산당 | 0 | 0 | 0 | 1 |
무소속 | 15 | 15 | 30 | 37 |
합계 | 75 | 53 | 128 | 250 |
자유당은 95석을 얻어 제1당을 유지했지만, 과반수에는 미치지 못했다. 일본사회당(좌파)는 40석, 일본사회당(우파)는 26석을 얻어 사회당의 의석수가 증가했다. 녹풍회는 34석, 개진당은 15석을 얻었다.
3. 2. 상세 결과
정당 | 지역구 | 전국구 | 당선자 합계 | 의석수 |
---|---|---|---|---|
자유당 | 30 | 16 | 46 | 95 |
일본사회당(좌파) | 10 | 8 | 18 | 40 |
녹풍회 | 8 | 8 | 16 | 34 |
일본사회당(우파) | 7 | 3 | 10 | 26 |
개진당 | 5 | 3 | 8 | 15 |
노동자농민당 | 0 | 0 | 0 | 2 |
일본공산당 | 0 | 0 | 0 | 1 |
무소속 | 15 | 15 | 30 | 37 |
합계 | 75 | 53 | 128 | 250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인 |
---|---|---|---|
자유당 | 6,260,816 | 23.2% | 16 |
일본사회당(좌파) | 3,858,552 | 14.3% | 8 |
녹풍회 | 3,301,011 | 12.2% | 8 |
일본사회당(우파) | 1,740,423 | 6.4% | 3 |
개진당 | 1,630,507 | 6% | 3 |
일본공산당 | 293,877 | 1.1% | 0 |
노동자농민당 | 110,889 | 0.4% | 0 |
무소속 | 9,504,220 | 35.2% | 15 |
총합 | 27,034,839 | 53 |
현(県) | 총 의석 수 | 획득 의석 수 | ||||||
---|---|---|---|---|---|---|---|---|
자유당 | 일본사회당(좌파) | 녹풍회 | 일본사회당(우파) | 개진당 | 기타 | 무소속 | ||
아이치현 | 3 | 1 | 1 | | | | 1 | ||||
아키타현 | 1 | 1 | | | | | | |||||
아오모리현 | 1 | | 1 | | | | |||||
지바현 | 2 | 1 | | | | | 1 | |||||
에히메현 | 1 | | | | | 1 | | ||||||
후쿠이현 | 1 | 1 | | | | | | |||||
후쿠오카현 | 3 | 1 | 1 | 1 | | | | |||
후쿠시마현 | 2 | 1 | | 1 | | | ||||
기후현 | 1 | 1 | | | | | | |||||
군마현 | 2 | 1 | | | 1 | | | ||||
히로시마현 | 2 | 1 | | 1 | | | ||||
홋카이도 | 4 | 1 | 1 | | 1 | 1 | |||
효고현 | 3 | 1 | 1 | 1 | | | |||
이바라키현 | 2 | 1 | | | 1 | | | ||||
이시카와현 | 1 | | | | 1 | | | |||||
이와테현 | 1 | 1 | | | | | | |||||
가가와현 | 1 | | | | | | 1 | ||||||
가고시마현 | 2 | 2 | | | | | | |||||
가나가와현 | 2 | | | 1 | | 1 | |||||
고치현 | 1 | 1 | | | | | | |||||
구마모토현 | 2 | 1 | | | 1 | | | ||||
교토부 | 2 | 1 | 1 | | | | | ||||
미에현 | 1 | | 1 | | | | |||||
미야기현 | 1 | 1 | | | | | | |||||
미야자키현 | 1 | | 1 | | | | |||||
나가노현 | 2 | 1 | 1 | | | | | ||||
나가사키현 | 1 | 1 | | | | | | |||||
나라현 | 1 | | | | | | 1 | ||||||
니가타현 | 2 | 1 | 1 | | | | ||||
오이타현 | 1 | | | | | | 1 | ||||||
오카야마현 | 2 | 1 | 1 | | | | ||||
오사카부 | 3 | 1 | 1 | 1 | | | |||
사가현 | 1 | 1 | | | | | | |||||
사이타마현 | 2 | 1 | | 1 | | | ||||
시가현 | 1 | 1 | | | | | |||||
시마네현 | 1 | 1 | | | | | | |||||
시즈오카현 | 2 | 1 | | | | | 1 | |||||
도치기현 | 2 | 1 | | 1 | | | ||||
도쿠시마현 | 1 | | | | | | 1 | ||||||
도쿄도 | 4 | 2 | 1 | | | | 1 | ||||
돗토리현 | 1 | | | | | | 1 | ||||||
도야마현 | 1 | 1 | | | | | | |||||
와카야마현 | 1 | 1 | | | | | | |||||
야마가타현 | 1 | 1 | | | | | |||||
야마구치현 | 1 | | | | | | 1 | ||||||
야마나시현 | 1 | | | | | | 1 | ||||||
전국 | 53 | 16 | 8 | 8 | 3 | 3 | 15 | |
합계 | 128 | 47 | 19 | 15 | 10 | 8 | 1 | 28 |
rowspan=2 | | 전국구 | 지역구 | 의석 합계 | ||||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수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수 | ||
자유당(요시다파) | 6,149,927 | 16 | 8,803,131 | 30 | 46 | ||
자유당(하토야마파) | 110,889 | 0 | 522,540 | 0 | 0 | ||
개진당 | 1,630,507 | 3 | 2,840,345 | 5 | 8 | ||
일본사회당(우파) | 1,740,423 | 3 | 2,952,803 | 7 | 10 | ||
일본사회당(좌파) | 3,858,552 | 8 | 3,917,837 | 10 | 18 | ||
일본공산당 | 293,877 | 0 | 264,729 | 0 | 0 | ||
녹풍회 | 3,301,011 | 8 | 2,096,103 | 8 | 16 | ||
노동자농민당 | 112,535 | 0 | 277,442 | 0 | 0 | ||
기타 정당 | 332,898 | 0 | 322,674 | 1 | 1 | ||
무소속 | 9,504,220 | 15 | 6,013,363 | 14 | 29 | ||
합계 | 27,034,839 | 53 | 28,010,967 | 75 | 128 | ||
정당/무소속 | 선출 | 비선출 | 합계 |
---|---|---|---|
여당 | 46 | 47 | 93 |
자유당(요시다파) | 46 | 47 | 93 |
야당 외 | 82 | 75 | 157 |
자유당(하토야마파) | 0 | 2 | 2 |
개진당 | 8 | 7 | 15 |
일본사회당(우파) | 10 | 16 | 26 |
일본사회당(좌파) | 18 | 22 | 40 |
일본공산당 | 0 | 1 | 1 |
녹풍회 | 16 | 18 | 34 |
노동자농민당 | 0 | 2 | 2 |
여러 정파 | 1 | 0 | 1 |
무소속 | 29 | 7 | 36 |
합계 | 128 | 122 | 250 |
3. 3. 재선거 및 보궐선거
전국구 선거에서는 도치기현 사노시의 한 투표소에서 일본사회당 후보 히라바야시 고우가 일본공산당 소속으로 잘못 표기되는 일이 있었다. 이에 1954년 9월 24일 일본 최고재판소 판결에 따라 사노시의 선거 결과는 무효가 되었다.[3] 1954년 10월 17일, 정확한 표기로 재선거가 실시되었고, 그 결과 히라바야시 고우가 당선되고 쿠스미 요시오가 낙선했다.[4][5]이후에도 몇몇 의원들의 사망 및 사퇴로 인해 보궐선거가 실시되었다.
선거구 | 사유 | 전임 의원 | 보궐선거 당선 의원 | 보궐선거일 |
---|---|---|---|---|
와카야마 | 사망 | 도쿠가와 요리사다 | 노무라 키치사부로 | 1954년 6월 3일 |
시마네 | 사망 | 다이타츠 시게오 | 사노 히로시 | 1955년 11월 11일 |
돗토리 | 사망 | 미요시 히데유키 | 나카다 요시오 | 1956년 4월 4일 |
오사카 | 사망 | 모리시타 마사카즈 | 오가와 코우조 | 1957년 4월 23일 |
가가와 | 사망 | 시라카와 카즈오 | 마스하라 케이키치 | 1957년 6월 28일 |
아키타 | 중의원 선거 출마로 사퇴 | 스즈키 하지메 | 마츠노 코이치 | 1958년 6월 22일 |
이시카와 | 사망 | 이무라 토쿠지 | 시바노 카즈키오 | 1958년 12월 7일 |
4. 선거 이후
아타미시에서 "아마노가와혼포"(天の川本舗)를, 요카이치시에서 "우마이야"(うまいや)를 경영하던 제과업체 사장 야마부 도쿠시(山副博士, 당시 30세)는 전국구에서 이 선거에 출마했다.[7] 그러나 야마부는 라디오 정견방송에서 자사 제품 광고를 반복했고, 후보자에게 무료로 배포되는 엽서와 특별 승차권을 되팔았으며, 선거 운동은 전혀 하지 않았다.[8] 선거 공보에도 자사 제품 광고 문구만 기재했고, 유세차 트럭에도 자사 제품 명칭과 상표로 보이는 그림만 게재했다.[9] 이러한 야마부의 선거 운동 방식은 사회 문제로 제기되어 공직선거법이 상품 등의 광고 행위 금지를 명문화하도록 개정되는 계기가 되었다.[8]
한편, 야마부가 운영하던 아마노가와혼포는 곰팡이가 핀 제품이 6번 발견되어 1960년 아타미 보건소 징계위원회로부터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10] 1961년에는 야마부가 일만 엔 지폐를 모방한 삐라를 뿌린 혐의(통화 및 증권 위조 단속법 위반)로 불구속 기소되었다.[11][12] 1962년 6월 18일, 시즈오카 지방법원 누마즈 지부는 야마부에게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의 유죄 판결을 내렸고,[13] 야마부는 항소했지만 1963년 1월 21일 도쿄 고등법원에서 기각되었다.[14][15]
참조
[1]
웹사이트
Table 13: Persons Elected and Votes Polled by Political Parties - Ordinary Elections for the House of Councillors (1947–2004)
http://www.stat.go.j[...]
2011-03-23
[2]
웹사이트
27-11 Allotted Number, Candidates, Eligible Voters as of Election Day, Voters and Voting Percentages of Ordinary Elections for the House of Councillors (1947-2004)
http://www.stat.go.j[...]
2006-01-04
[3]
서적
参議院議員選挙一覧 第3回
参議院事務局
1955
[4]
서적
参議院議員選挙一覧 第3回
[5]
서적
参議院議員選挙一覧 第3回
[6]
웹사이트
有権者数及び投票率の推移
https://www.pref.tot[...]
[7]
뉴스
読売新聞東京本社
1953-04-21
[8]
회의록
衆議院 法務委員会
https://kokkai.ndl.g[...]
2000-04-26
[9]
간행물
経済往来
1953-06
[10]
뉴스
読売新聞東京本社
1960-08-12
[11]
뉴스
読売新聞東京本社
1961-03-25
[12]
뉴스
読売新聞東京本社
1961-04-22
[13]
뉴스
読売新聞東京本社
1962-06-19
[14]
논문
判例タイムズ社
[15]
판례
通貨及証券模造取締法違反被告事件
https://www.courts.g[...]
1963-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